홍콩의 최근 주택가격 동향
1. 최근 홍콩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 홍콩 주택가격은 2015.9월∼2016.3월 중 단기조정을 보이고 상승으로
전환한 다음 당국의 가격 안정을 위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높은 상승세를 지속
* 홍콩정부는 2016.11월 2채 이상의 주택구입자(최초 구입자 제외)에 대해 15%의 인지세
(stamp duty)를 부과하였으며(2016.11.5.일 시행) 2017.4월에는 최초 구입자에 대해서도
2채 이상 구입시 15%의 인지세 부과(2017.4.12.일 시행).
규제시행 이전에 매수하려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2017.3월중 주택거래 건수 및 금액
은 5,856건, 504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1.5배, 1.9배 증가
ㅇ 지난해 4월부터 연말까지 13.3% 상승한 데 이어 금년 들어서도 3월말
까지 4% 상승
― 금년 3월말 현재 홍콩의 평균 주택가격은 가격조정 이전 최고치
(2015.9월)보다 4.5% 높은 수준
ㅇ 주택 규모별로는 중소형의 가격이 대형(100㎡ 이상)보다 더 빠르게 상승
(금년 3월말 현재 중소형과 대형이 1년 전에 비해 각각 +18.1%, +10.4% 상승)
ㅇ 지역별·규모별 주택가격을 보면 홍콩섬과 구룡반도 대형(100㎡ 이상) 주
택의 경우 대체로 ㎡당 20만 홍콩달러(2017.3월중 평균환율<146.13> 적용시
3.3㎡당 약 1억원)를 초과
2. 주택가격 상승 배경
□ 최근 홍콩 주택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는 것은 주택공급은 한정된 가운
데 주택수요는 저금리 및 풍부한 유동성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 등으로
계속 늘어나고 있는 데 기인
□ 지난해 홍콩의 연간 주택공급은 14,595가구로 2015년 대비 29.4% 증가
하였지만 주택수요 증가를 충족시키기에는 충분치 않은 것으로 평가
ㅇ 홍콩 신규 주택공급량은 2000년대 초반 연간 30,000가구 내외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10,000∼15,000가구 수준으로 대폭 축소
□ 저금리 및 풍부한 유동성 등을 배경으로 홍콩 주택에 대한 수요가 지속
적으로 증가
ㅇ 홍콩의 실질금리는 2009.9월 이후 마이너스를 지속하고 있는데 2016년
중에는 평균 –2% 수준으로 중국, 싱가포르,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크
게 낮은 수준
함께보기
-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24호)
- "2017 글로벌 경제 10대 이슈"의 모니터링(상반기)
- 지역경제보고서(2017년 6월)
-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23호)
- 금융안정보고서(2017년 6월)
- [현지정보] 영국·EU간 Brexit 1차 협상 결과 및 반응
- 중국의 통화정책 운영체계 변경 움직임
- 영란은행 정책금리 동결, MPC 8인중 3인이 금리인상 주장
- 2017.6월 FOMC 회의 결과
- 6월 FOMC 결과에 대한 금융시장 반응 및 시장참가자들의 평가
- 2017년 하반기 유료지역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점검
-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7-22호
- [현지정보] 영국, 5월 소비자물가상승률 3% 근점(2.9%)
- 現 미국 노동시장 상황에 대한 시장의 평가
- [현지정보] 미 Financial CHOICE Act 하원 통과
- [현지정보] ECB 통화정책 결정 내용 및 금융시장 반응
-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21호)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현황 및 평가
- [현지정보]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 변경 논의에 대한 평가
- [현지정보] 미 국채 기간프리미엄 현황 및 전망
- [현지정보]2017.1분기 중국 통화정책보고서 주요 내용
- 주요 선진국의 경기회복 특징과 지속가능성 평가
-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7-20호
- 6.1.부터 상호금융권* 주택담보대출 '맞춤형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모든 조합 및 금고로 확대 시행
- 주요국의 기본소득 논의 동향
-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19호)
- [현지정보] 인민은행, 채권통(중국 본토·홍콩 채권시장간 교차거래) 시행계획 발표
- 홍콩의 최근 주택가격 동향
- [현지정보]미국의 가계부채, 금융위기 이전 최고 수준을 상회
- 주요국 가계의 특징과 시사점
-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18호)
-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17호)
- 트럼프 행정부 출범 100일
- 미 연준 보유자산 규모 축소가 아시아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
- 프랑스 대선 최종 결과 및 반응
- 영란은행, 정책금리 동결 및 양적완화 유지
- 프랑스 경제의 3대 과제와 시사점
- 중국 2017년 1분기 GDP성장률 내용 및 평가
- 2017년 1/4분기중 외환시장 동향
- 은행장 간담회를 통한 新 기업구조조정 방안 발표
- 2017년 경제전망
- 미 연방정부 폐쇄(shutdown) 가능성 및 시장 영향 전망
- 브렉시트(Brexit)의 의미와 영향은?
- 미 연준(Fed)의 금리인상 영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