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이슈

[동향분석] 미국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부과 관련 주요 이슈

[동향분석] 미국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부과 관련 주요 이



1. 미 정부,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고율 관세부과 발표

□ 트럼프 정부는 3.8일 무역확대법*

(Trade Expansion Act 232조)에 근거하여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

및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

 * ‘국가안보조항(national security clause)’으로 통칭되며, 동 조항에 근거 미 대통령은 상

무부가 국가안보를 훼손할 수 있다고 판단한 수입품에 대해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음

<참고1> 미국의 무역정책 관련 주요 법적 근거 및 사례 참조

 ** 18.1월에는 세탁기와 태양광 제품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uard action, 무

역법 201조)를 취한 바 있음

 o 이는 미 상무부가 지난해 4월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이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를 시작하여 금년 2월* 동 수입품이

관련 위험을 지닌다는 판단과 함께 대통령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

다고 요청한 데 따른 조치

 * 상무부는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에 대한 조사결과를 2.16일 발표

 o 2001년에도 동 조항을 근거로 철광석과 철강 수입품에 대해 관세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하려 했으나, 당시에는 상무부가 이들 수입품이 국가안

보에 위협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

2.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부과 관련 주요 이슈*

* 주요 투자은행 관련 보고서 내용을 요약·정리

(미국의 실물경제에 긍정적 효과보다 부정적 효과가 더 클 가능성)

□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의 생산과 고용이 증가하겠으나 동 제품을 원료로

사용하는 산업의 생산 및 고용이 더 크게 감소함으로써 경제 전반에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o 현재 가동률이 각각 40%와 80% 미만인 알루미늄과 철강의 생산이 증

가*하겠으나 금속제품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 건축

자재 등의 가격상승으로 동 산업제품의 생산 및 소비가 위축될 가능성

* 금번 관세부과의 목표 중 하나는 알루미늄과 철강 공장의 가동률을 80% 이상으로

높이는 데 있음

― 미국에 진출한 한국 완성차 기업의 경우 한국산 철강을 50% 이상

사용하고 있는데 자동차에 사용되는 고품질 강판 및 부품의 경우

미국산으로 대체가 어려워 가격이 높아진 한국산을 계속 사용해야

하므로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

․ 이는 최근 미국내 국산차에 대한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 미국에

진출한 국내 완성차 업체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전망

o HSBC분석에 따르면 금번 관세부과는 미국내 금속제품 관련 산업의 일

자리를 약 3.5만개 증가시키는 반면 동 제품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산업

의 일자리는 18만개 축소시킬 것으로 추정

― 02.3월 부시 행정부의 철강제품에 대한 8~30% 관세 부과로 철강제

품을 원자재로 하는 중소업체를 중심으로 감소한 일자리(약 20만개)

가 전체 철강제조업 일자리(약 19만개)보다도 더 많았던 것으로 추정*

*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U.S. Steel Import Tariffs: A Quantification

of the Impact During 2002(TRADE PARTNERSHIP WORLDWIDE, LLC, 03.2월)

o 한편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의 가격 상승은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대

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1.5조 달러)의 경제성을 약화시켜 인프라 투자를

당초 계획보다 위축시킬 가능성

― 인프라 투자에 대규모 민간자본을 유치할 계획인 상황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은 민간자본의 프로젝트 참여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

□ 다만 이런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규모가 전체

수입과 GDP의 각각 2%, 0.2% 내외인 점을 고려할 때 동 제품에 대한

관세부과의 거시경제적 효과는 크지 않을 전망

o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HSBC)되며, 교역 및

철강제품에 대한 소비 감소 등이 나타날 경우에도 소폭 하락(-0.1%p 내

외, Barclays)에 그칠 가능성

o 금속제품이 공산품의 기초자재로 사용되고 있어 금속제품 가격 상승은 여

타 제품 가격의 상승요인이나, 최종 제품에 대한 가격전가의 어려움 등으

로 물가상승 압력은 약 0.1%p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상(Barclays, BOA, Citi)

o 현재 총 고용인원이 1억 5천만을 상회하고 실업률이 4% 수준으로 하락한

상황에서 약 15만개의 일자리 축소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

(무역분쟁의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

□ 일부 국가가 보복조치를 고려하고 있으나 이들 나라의 수출에서 금속제

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미국이 추가적으로

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면

상대국가의 보복조치가 일부 품목에 한정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금

번 관세부과의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

o 캐나다, 멕시코 및 브라질을 제외하면 미국에 대한 전체 수출금액 중

금속제품의 비중은 1% 이내에 그침

o 보복조치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는 EU의 경우, 경제적 측면보다는 정

치적 측면을 고려한 품목(오토바이, 위스키, 청바지 등*)에 대한 관세부과를

고려하고 있으며 그 금액은 28억 유로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

* Harley Davidson 오토바이는 Paul Ryan 하원의장 지역구인 Wisconsin, Bourbon

위스키는 McConnell 상원 공화당 대표 지역구인 Kentucky가 주된 생산지

□ 다만 미국이 국내 정치상황 등을 고려하여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등 보

호무역 조치를 강화한다면 글로벌 경제상황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예상

o 금번 관세부과도 미국의 경제적 이익보다는 정치적 상황을 더 많이 고

려한 결정이라는 견해가 우세한 만큼 향후 추가적인 보호무역 조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

―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부과의 이유로 동 산업의 일자

리 감소가 제시되고 있으나 미국 제조업 고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

는 상황에서 금속제품업 고용의 비중이 대체로 상승한 점을 고려할

때 금번 관세부과의 궁극적 목적은 고용확대가 아닌 것으로 추정


o Goldman Sachs의 분석*에 따르면 무역 분쟁의 4가지 시나리오** 중 정

도가 가장 심각한 시나리오 하에서 미국과 주요 교역상대국의 GDP는

0.2~0.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Trade Wars: The Big Picture(18년 3.11일)

** ① 미국만 모든 수입품에 1% 추가 관세 부과, ② 미국과 교역상대국간 5%의 추가

관세 부과, ③ 미국과 교역상대국간, 여타 교역상대국간 모두 5%의 추가 관세 부과

④ ③번 시나리오 + 글로벌 주가 10% 하락

― 1930년 제정된 Smoot-Hawley 관세법의 경우에도 교역상대국의 보복

조치를 초래하여 1933년까지 미국 수출입 규모를 약 60% 감소시켰

을 뿐만 아니라 국제무역 규모도 크게 축소시켜 대공황의 심화를 가

져온 것으로 평가

0316(동향분석)미국+철강+및+알루미늄에+대한+관세부과+관련+주요+이슈.pdf

[현지정보] 금년도 중국 경제정책방향의 주요 특징에 대한 홍콩 IB의 견해

[현지정보] 최근 일본 정계 사정과 일본은행 총재 국회동의 경과

[동향분석] 최근 미 재정정책 변화의 영향 평가

구속성예금 구인배율 구제금융

교환사채(EB) 교환성 통화 구매력평가환율

공매도 관리변동환율제도 관리통화제도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신혼부부 특공 확대 어떻게변하나

신혼부부주택 특공비율 보고가실게요

공공재 공급사용표(SUT) 공급탄력성

고통지수 골디락스경제 공개시장운영

고정이하여신비율 고정자본소모

고정금리 고정금리부채권(SB) 고정분류여신

고용보조지표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고정금리

2018년 2월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