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최근 미 재정정책 변화의 영향 평가

by RichInside 2018. 3. 21.
반응형

[동향분석] 최근 미 재정정책 변화의 영향 평가



Ⅰ. 최근 미 재정정책 변화

□ 지난해 연말 세제개혁이 이루어진 데 이어 2.9일 미 의회는 2018~2019년중

재정지출 한도를 약 3천억달러* 늘리는 예산안(Bipartisan Buget Act of 2018)에

합의

 * 2018년중 1.4천억달러, 2019년중 1.5천억달러가 증액되었으며 국방비와 비국방비 지출

비중은 각각 56% 및 44% 수준(8.4백억달러의 재난구호기금은 별도) ㅇ 동 법안은 정부지출권한 연장(올해 3.23일까지), 부채한도 유예(2019.3월까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증액 규모는 2013년 및 2015년에 비해 3배

이상 큰 수준


□ 조세감면에 이은 정부예산 확대 조치는 과거 재정팽창기에 비해 규모가

크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정부부채가 이미 크게 늘어난 가운데 추가적인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수요 또한 없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매우 이례적

이라 할 수 있음

 * 1950년 이후 재정확장기의 평균 부양규모는 GDP 대비 3.9% 수준(Nomura) ㅇ 금융위기 이후 정부의 재정활동은 성장에 별로 기여하지 못하는 소극적

스탠스였던 것으로 평가되나 금번 세제개혁 및 예산한도 증액으로 미

재정기조는 매우 확장적으로 전환

 ◾ 시장에서는 1980년대 미소 냉전구도 하에서 레이건 행정부의 군비확장,

2000년대 이라크 전쟁수행을 위한 부시 행정부의 국방비 지출확대 등 사례를

떠올리며 트럼프 행정부의 확장적 재정운용도 과거 공화당 행정부와 마찬

가지로 결국 쌍둥이 적자(재정 및 경상수지 적자) 문제를 초래할 것이라 우려


1 경기 부양효과

□ 조세감면 및 정부지출 확대 등 정부의 재정운용이 확장적(double dose of

stimulus)으로 전개됨에 따라 적지 않은 경기부양효과가 예상

 ㅇ 주요 투자은행들에 따르면 재정 집행시차* 및 승수** 등을 감안할 때

2018~2019년중 1.0%p 내외의 성장률 제고효과가 나타날 전망

 * 통상적으로 예산한도 대비 집행 스케줄은 첫해 60%, 익년도 25%, 이후 15%(CBO) ** 대다수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와 같이 경제가 완전고용수준에 있을 경우에는 정부

지출이 가동률과 물가상승률을 높이고 연준 금리인상으로 이어져 민간투자가 구축

됨에 따라 재정승수가 1에 미달(J.P.Morgan)


ㅇ 이와 함께 실업률은 2019년까지 3% 중반 수준(2017.12월 FOMC의 전망치는

2019년중 3.9%)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이며 물가 상승세도 점차 확대되면서

2019년중에는 연준 목표치(2%) 달성도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측

□ 그러나 금번 확대 재정정책의 경기부양효과는 이르면 2019년 하반기부터

둔화되기 시작하여 2020년에는 마이너스로 전환될 전망



2 재정적자 및 경상수지 적자의 동반 확대 (쌍둥이 적자)

□ 사회보장, 의료지원 등 구조적 재정지출 증가세에 확장적 재정정책이 가세

하며 재정수지는 더욱 악화될 전망* * 재정수입은 앞으로도 과거 평균 수준(잠재 GDP대비 16~18%)을 크게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평가(Goldman Sachs)



 ㅇ 미 재정적자는 2019년에 심리적 상한으로 여겨지는 1조달러를 상회(GDP

대비 5% 초반 수준)할 것으로 보이며 지금과 같은 정책기조가 이어질 경우

에는 전례없는 수준으로까지 재정건전성이 악화될 우려


□ 또한 재정적자 확대(정부저축 감소)에 따른 저축-투자간 불균형은 경상수지

적자 누증으로 귀결될 가능성(민간저축 + 정부저축 – 투자 = 순수출 < 0) ◾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2017년 3.4%에서 2019년 5.4%로 상승하는 가운데

경상수지 적자도 2.3%에서 3.9%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J.P.Morgan)


 ㅇ 이는 최근의 경제여건 등을 감안할 때 재정적자 확대를 상쇄할 만큼의

충분한 민간저축 증가 또는 투자 감소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

 ◾ (가계저축) 양호한 경기상황 하에서 가계저축률이 역사적 최저치(2017.12월

기준 2.4%)에 근접하고 가처분소득 대비 순자산 비율이 최고치에 이르는 등

가계의 예비적 저축동기가 크게 저하


◾ (기업저축) 법인세 인하에 따른 세후이익 증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의 지출

성향 등을 고려할 때 기업저축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사내유보 이윤

(undistributed corporate profits)은 확대될 전망

 ◾ (투자) 세제개혁안의 주요 내용 중 자본적 지출의 100% 비용 인정(자본의

사용자 비용 하락) 및 경기 호조(투자의 가속도 효과) 등은 투자에 대해 대체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반면, 세제개혁안에 담긴 표준공제 확대, 모기지 이자공제시 원금 한도 축소 등은

주택투자에 부정적 유인으로 작용



ㅇ 다만, 금번 세제개혁은 기업이윤의 해외 이전을 방지하는 유인책을 담고

있어 경상수지 적자*폭 축소에 소폭이나마 기여할 것으로 보임

 * Goldman Sachs는 미국내 다국적 기업들의 이윤 이전 행위로 인해 미국의 수출이

약 3천억달러(GDP 대비 1.5%) 과소계상된다고 추정

 ◾ 법인세 인하(35% → 21%)로 기업들이 저세율국가*로 이윤을 이전하려는 동기가

약화

 * 네덜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버뮤다, 영국령 케리비안 제도, 스위스, 싱가포르 등

 ◾ 더욱이 기업의 조세회피 유인 억제를 직접 겨냥하고 있는 세원잠식방지세*

(BEAT;

Base-erosion and Anti-Abuse Tax) 및 글로벌 저과세 소득(GILTI; Global Intangible

Low-Taxed Income)에 대한 과세** 제도가 도입되면서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

 * 미국법인이 세법상 공제가능한 경비(미국내에서 창출된 이윤)를 회계기법을 활용

하여 관계사에 지급하는 경우 이를 세원을 잠식하는 행위로 보고 동 지급액에

과세(KPMG, Goldman Sachs) ** 저세율 국가에 소재한 해외투자기업이 일반적인 영업활동으로부터 기대되는 이익을

초과하여 창출한 이익(특허권 등 무형자산 관련 이윤)에 대하여 미국 모법인에 대한

배당여부와 상관없이 미국에서 과세한다는 방침(KPMG) ◾ 세원잠식방지세 도입 및 GILTI 과세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기업이윤의 해외 유출이 5%만 줄어들더라도

GDP 성장률을 0.1%p 높이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Goldman Sachs)

 * 미 재무부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금년 중 공표할 예정

3 연준 통화정책과 달러화 환율

□ 향후 2년간 재정지출 한도 증액으로 추가적인 경기부양효과가 예상됨에

따라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도 당초 예상보다 빨라질 가능성

 ㅇ 연준의 경제인식에 관한 최근 자료인 2017.12월 FOMC 의사록을 보면

당시 참석자들은 세제개혁의 효과는 경제전망에 충분히 반영하였지만

추가적인 대규모 재정지출 확대 정책은 미처 예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

 ㅇ 시장에서는 올해 연준의 금리인상이 3, 6, 9, 12월중 총 4회 이루어질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는 모습(2017.12월 FOMC의 금리인상 전망은 2018년중

3회 수준) 

 ◾ 2월 초순경 자산가격의 급격한 조정에도 불구하고 금융상황은 여전히 경기

상승을 뒷받침하는 완화적 수준

 ◾ Powell 의장도 최근 의회 증언(2.27일)에서 노동시장 개선 지속, 인플레이션

상승세에 대한 확신, 세계경기 호조, 확장적 재정정책 등 측면에서 지난해

12월보다 경제전망이 더욱 낙관적이 되었다고 평가

 ◾ 아울러 1960년대 후반 완전고용수준에서 펼쳐진 확장적 재정정책에 대한

연준의 미진한 대응이 1970년대 Great Inflation을 유발한 주된 원인 중 하나

였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Nomura)

□ 한편 연준의 꾸준한 금리인상이 달러화 가치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겠지만 단기금리와 달러화 환율간 관계 약화, 재정 및 경상수지 적자

확대 우려 등 국제자본이동 및 펀더멘털 측면에서 볼 때 그간의 달러화

약세 흐름이 반전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다수


ㅇ 현재와 같이 쌍둥이 적자 이슈가 부각되었던 1980년대와 2000년대 상황을

보면 레이건 행정부 시절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연준의 고금리 정책은

달러화 강세를, 부시 행정부에서의 완화적 통화정책은 달러화 약세 요인

으로 작용하는 등 금리와 달러화 가치는 밀접히 연관되어 왔음


ㅇ 그러나 최근 금리인상기였던 2004~2006년중 수익률 격차가 200bp 확대

되는 가운데서도 달러화가 약 7% 절하된 것과 유사하게 현 금리인상기

(2015.12월 이후) 역시 단기금리차 확대 흐름에서도 달러화가 약세를 지속* * 1980년 이후 6번의 연준 금리인상기 중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것은 절반에 불과

 ㅇ 더욱이 미 쌍둥이 적자 확대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우려가 상존

하는 가운데 시장 일각에서는 연준의 금리인상이 시장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경우 미국 경기둔화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달러화에 대해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



0314(동향분석)+최근+미+재정정책+변화의+영향+평가_f.pdf



구속성예금 구인배율 구제금융

교환사채(EB) 교환성 통화 구매력평가환율

공매도 관리변동환율제도 관리통화제도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신혼부부 특공 확대 어떻게변하나

신혼부부주택 특공비율 보고가실게요

공공재 공급사용표(SUT) 공급탄력성

고통지수 골디락스경제 공개시장운영

고정이하여신비율 고정자본소모

고정금리 고정금리부채권(SB) 고정분류여신

고용보조지표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고정금리

2018년 2월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

금년도 중국 경제정책방향의 주요 특징에 대한 홍콩 IB의 견해

최근 미 재정정책 변화의 영향 평가

계좌대체 고객확인절차(KYC) 고용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