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 약 >
□ 최근 미국 실물경제는 양호한 고용여건, 경제심리 개선 등으로 소비가
증가하면서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
ㅇ 고용사정은 취업자수가 꾸준히 늘어나고 실업률이 낮은 수준을 유
지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잠재수준을 웃도는 성장세
등으로 이러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
ㅇ 물가는 경기 및 고용 호조 지속에 따른 유휴생산자원(slack) 축소, 유
가 상승 등으로 연준 목표(2%)에 도달하였으며 앞으로도 동 목표 수
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전망
⇒ 미국경제는 고용 및 경제심리 호조 등에 힘입어 견실한 성장세를 지
속할 전망이나 향후 무역 분쟁 확산 가능성이 하방리스크로 잠재할
것으로 예상
□ 8월중 금융시장에서 금리는 미·중 무역 분쟁 우려, 터키 등 신흥국 금
융 불안 등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하였으며 주가는 기업실적 개선 등
으로 상승
ㅇ 달러화는 미·중 무역 분쟁 우려, 신흥국 금융 불안 등 강세 요인과 미·
멕시코 무역협상 타결 등 약세 요인이 교차하면서 전월말 수준에서 등락
□ 미 연준은 최근의 경기, 고용 및 물가 상황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유
지하고 있으나 무역 분쟁 장기화의 경기 하방 리스크에 대한 경계감
은 다소 높아지고 있는 상황
ㅇ 아울러, Powell 의장은 잭슨홀 연설(8.24일)에서 점진적 금리인상이
적절하다는 기존의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최근의 경기상황을 과열
로 판단할 근거는 없다는 다소 dovish한 입장을 표명
ㅇ 시장에서의 2018년중 추가 2회의 금리인상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높
은 수준
⇒ 연준이 점진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견지하는 가운데 2018.9월과 12월의
정책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향후 무역 분쟁
전개 양상 등을 계속 주시할 필요
0908(동향분석) 최근의 미국경제 상황과 평가.pdf
정치적 문제로 인한 경제의 부정적 영향, 주요 선진국에서도 발생할 가능성 등
[8월 29일 국제금융속보]중국의 대외 영향력 강화, 대규모 부채·고령화·중진국 함정 등이 저해 요인 등
Powell 의장, Jackson Hole 콘퍼런스 연설
무질서한(No-Deal) Brexit 논란 배경과 전망
미국 연준의 장단기 채권 보유비중, 경기부양 의지와 금융비용 관련 중요 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