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1315 [현지정보] 美 2017.8월 고용지표 내용과 뉴욕 금융시장 반응 [현지정보] 美 2017.8월 고용지표 내용과 뉴욕 금융시장 반응 1. 고용 지표 □ ’17.8월중 비농업부문 취업자수(Nonfarm Payroll)가 전월대비 15.6만명 증가 하여 시장 예상치(+18.0만명)를 하회하였으며, 직전 2개월 취업자수도 하향 조정(-4.1만명) o 민간부문 취업자수가 16.5만명 증가(+17.2만명 예상)하였으나 정부부문 취 업자수는 0.9만명 감소(+0.8만명 예상) - 업종별로는 제조가 증가세를 유지하고 건설이 증가로 전환한 반면 여가·호텔· 식당과 교육·의료는 증가규모가 축소되며 부진한 모습 o 직전 2개월치(’17.6~7월중) 취업자수는 4.1만명 하향 조정 ▪ 민간부문은 1.0만명 상향 조정 - 6월: 1.3만명 상향(+19.4만명 → +20.7만명), 7월: 0.. 2017. 9. 13.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34호)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34호) ▣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7-34호(9.8) ※ 최신 해외학술 정보 2017. 9. 13. 최근 주요국 임금상승세 부진 원인 및 평가 최근 주요국 임금상승세 부진 원인 및 평가(국제경제리뷰, 제2017-29호) ◆ (검토 배경) 최근 미국, 유로지역 등 선진국의 경기 및 고용여건 개선에도 불구하고 임금상승세가 부진한 모습을 지속 ㅇ실업률이 크게 하락했으나 임금상승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 ■ 특히 금년중 실질임금 상승률은 0% 내외로 금융위기 직후인 2011~13년과 비슷 ㅇ주요국의 실업률과 임금상승률간 상관관계가 약화되면서 임금-필립스 곡선(Wage-Phillips Curve)의 기울기가 평탄화되고 설명력도 저하 ◆ (부진 원인) 노동생산성, 기대인플레이션 등 임금결정요인, 과거 임금의 하방경직성 등 특이요인 및 인구구조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ㅇ(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기업의 임금상.. 2017. 9. 13.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33호)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33호) ▣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7-33호(9.1) ※ 최신 해외학술 정보 2017. 9. 13.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32호)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32호) ▣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7-32호(8.25) ※ 최신 해외학술 정보 ※ 주요국의 경제지표 2017. 9. 2. [현지정보] 영국정부, Brexit 세부협상안 공개 [현지정보] 영국정부, Brexit 세부협상안 공개 □ Brexit 협상 개시(6.19일) 이후 영국정부는 EU탈퇴 협상 관련 입장과 Brexit 이후 EU와의 미래관계에 대한 견해를 의제별로 발표해 옴 ㅇ EU탈퇴 협상 관련 입장(Position papers)으로 (1) 영국내 거주 EU 국민들의 지위, (2) 영국-아일랜드 국경간 통행, (3) 비밀 유지 및 공공정보에 대한 접근, (4) 영국 소재 EU기구들의 특권 및 면책 등을 발표 ㅇ 영국-EU간 미래관계에 대해 견해(Future Partnership papers)로는 (1) Brexit 이후 세관 통관 방안, (2) Brexit의 법제화 및 관련 사법 분쟁의 해결 절차, (3) 국경간 이슈에 대한 사법당국간 협력 방안 등을 발표 1. 포지션 보.. 2017. 9. 1. 이전 1 ··· 188 189 190 191 192 193 194 ··· 2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