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이슈

최근 주요국 임금상승세 부진 원인 및 평가

최근 주요국 임금상승세 부진 원인 및 평가

(국제경제리뷰, 제2017-29호)




◆ (검토 배경) 최근 미국, 유로지역 등 선진국의 경기 및 고용여건 개선에도 불구하고 임금상승세가 부진한 모습을 지속

  ㅇ실업률이 크게 하락했으나 임금상승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

   ■ 특히 금년중 실질임금 상승률은 0% 내외로 금융위기 직후인 2011~13년과 비슷

  ㅇ주요국의 실업률과 임금상승률간 상관관계가 약화되면서 임금-필립스 곡선(Wage-Phillips Curve)의 기울기가 
    평탄화되고 설명력도 저하


◆ (부진 원인) 노동생산성, 기대인플레이션 등 임금결정요인, 과거 임금의 하방경직성 등 특이요인 및 인구구조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ㅇ(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기업의 임금상승 여력이 제약

     * 2016.4/4분기 기준 미국의 노동생산성은 금융위기 이전 추세가 지속되는 상황의 90%, 유로지역 및 일본의 경우 
       각각 92% 수준을 기록

    노동생산성 부진은 투자 위축에 따른 자본심화도(capital deepening) 약화, 글로벌 교역 둔화 등에 주로 기인

  ㅇ(인플레이션 기대 약화) 글로벌 저물가 지속으로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낮아진 가운데 인플레이션 기대가 임금인상 
     압력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 (wage-price spiral)이 약화

      * 인플레이션 기대 → 임금 상승 → 소비 증가 → 물가 상승 → 인플레이션 기대

    미국 및 유로지역의 기대인플레이션율이 2014년 이후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2016년에는 물가목표인 2% 수준을 
      하회

    EU집행위(2016) 추정결과 유로지역의 기대인플레이션율 1%p 상승시 명목임금 인상폭은 2002~2009년중 1.2%p
      에서 2009~2016년중 0.8%p로 축소

  ㅇ(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으로 금융위기 직후 충분한 임금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도 최근 
     임금상승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

    미국의 경우 2008~2010년중 실업률이 급등하는 가운데서도 명목임금 상승률 둔화폭은 다른 불황기와 비슷

    금융위기 이전기간(1990~2007년) 대상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위기 기간중 실제 둔화폭은 모형 
      추정치를 상당폭 하회

  ㅇ(고령층의 노동참여 증대)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고령층의 노동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전체 임금
     상승을 제한

    저임금의 고령층 취업자 비중은 커지는 반면 고임금의 중장년 비중은 감소

    미국의 인구구조를 2000년 수준으로 고정하고 추산한 결과, 고령화 효과로 인한 임금상승률 하락폭은 2013~16년
      중 연평균 0.13%p 정도로 추정


◆ (시사점) 앞으로 글로벌 경기가 꾸준히 개선되는 경우 기대인플레이션은 상승 전환되겠으나 노동생산성 저하 등 다른 
    구조적 요인은 임금 상승을 상당기간 제약할 가능성

  ㅇ그간 경기회복에 따른 임금상승세 확대는 가계의 소득 및 소비여건 개선을 통해 경기회복을 강화시키는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여 왔는데 이러한 선순환 과정이 약화될 우려

  ㅇ향후 각국 정부는 고령층 취업 및 연금정책 강화 등으로 가계의 소득기반을 확충하는 한편 구조조정, 기술혁신 
    등으로 노동생산성을 제고하는 데도 주력할 필요


[국제경제리뷰]+최근+주요국+임금상승세+부진+원인+및+평가 (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