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모럴해저드? 헤지펀드 위기 처하자 '구제금융'한 美연준

by RichInside 2020. 3. 21.
반응형

모럴해저드? 헤지펀드 위기 처하자 '구제금융'한 美연준

[서울=뉴스핌] 김사헌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최근에 위기 대응 수단을 총동원한 배경에 '레버리지헤지펀드' 위기가 있었다. 은행이 아니라 헤지펀드가 '대마불사', 즉 구제금융 대상으로 부상했다는 얘기인데, 이를 놓고 모럴해저드 비난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Covid-19) 전염병이 창궐하고 주식시장이 폭락했을 때도 미국 재무장관이나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금융위기 상황은 아니며 시장이 알아서 할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헤지펀드가 대량 손실 위기에 직면하자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곧바로 금융위기 때 사용했던 '바주카포'로 불리는 이례적인 위기대응 정책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19일 자 블룸버그통신은 "지난주 코로나19 패닉이 미 국채시장에 전례없는 혼란을 일으켰을 때, 그 배후에는 '레버리지 헤지펀드'가 도사리고 있었다"면서, "이들이 위기에 처한 것이 즉시 5조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연준의 결정에 기여한 요인이었다"고 폭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시타델, 밀레니엄 그리고 엑소더스포인트 등 거물 헤지펀드들이 타격을 입은 것이 연준의 지원 배경이 됐다고 같은 날 보도했다.

이들 보도에 따르면, 이른바 '베이시스거래(basis trading)'를 하는 이들 헤지펀드는 단기자금 조달을 하는 RP시장에서 자금을 빌려서 미 국채 현선물 차액거래 시장에 투자하는데, 개별 업체의 차입규모는 신중한 기준으로 결정되지만 관련 시장 소식통에 따르면 어떤 업체는 무려 자기 판돈의 50배나 되는 차입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시스거래는 국채 시장의 변동성이 낮을 때는 안전하게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거래기법이지만, 이번 시장의 변동성으로 취약성을 드러냈다.

블룸버그통신은 JP모간체이스의 전략가들의 추산치를 인용, 이들 레버리지헤지펀드의 베이시스거래 전략의 위험 노출액은 무려 6500억달러(800조원 가량)에 이른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2일에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을 찾아 미 국채 선물로 몰려들자 헤지펀드들이 타격을 입었고, 거래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연준이 나서 5조달러를 지원해 시장을 안정시켰다는 것이다. 이어 이번 주에는 미 국채시장에서 마진콜에 따른 미 국채 선물의 매도세로 인해 미결제약정 규모가 2018년 이후 최저수준까지 줄어들었다.

미결제약정이란 장 장료 후에도 선물옵션계약 중에서 반대매매되거나 결제되지 않고 남아있는 약정수량을 말한다. 마진콜에 몰린 많은 회사들이 단기자금시장에서 차입하고 있기 때문에 연준이 긴급 자금지원을 했다는 것이다.

WSJ 지는 자산운용 규모가 300억달러가 넘는 시타델의 글로벌 채권펀드 사업부가 지난주 중에 수억달러 규모의 손실을 냈는데, 베이시스 거래가 문제가 됐다고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이 사업부는 이후 회복되기 시작해 이번 주 월요일에는 거의 손실을 메꿨지만, 이번 달들어 13일까지 3%~3.5%의 손실이 베이시스거래 때문에 발생했다고 고객들에게 알렸다.

또 운용규모 200억달러가 넘는 채권전문업체 캐퓰라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와 골드만삭스 사모펀드사업부가 지휘하는 LMR파트너스 그리고 뉴욕의 최대 헤지펀드 신생업체인 엑소더스포인트도 마찬가지 상황에 직면했다.

신문은 이들의 낸 손실은 주식시장 패닉에 비하면 우습게 보일지 모르지만, 어려운 상황에서도 늘 수익을 낸다는 모토로 운용하는 헤지펀드에게는 큰 문제라면서, 이들은 늘 수렴되는 자산시장의 역사적 상관관계를 토대로 차액 거래 기회를 노리는 시장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런 관계가 깨지는 위험에 직면하곤 한다고 지적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지난해 12월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에도 헤지펀드의 과도한 차입이 평소 같으면 순조로왔을 미 국채 시장에 혼란을 일으켰다. 작년 9월 RP시장의 대출금리가 2%에서 12%까지 폭등하는 사태가 벌어졌을 때도 바로 베이시스거래를 하는 헤지펀드가 말썽이었다고 BIS는 지적했다.

WSJ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지난주 목요일과 주말까지 연준이 활발하게 개입하면서 시타델 등 많은 헤지펀드가 베이시스거래를 정상적으로 전개하도록 지원했다고 전했다.

모간크리크캐피탈의 마크 유스코 대표이사는 블룸버그통신에게 "대마불사가 돌아왔는데, 이번에는 은행이 아니라 레버리지 금융기관들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연준의 시장 대응은 잘했다고 보지만, 헤지펀드가 차입으로 덩지를 키운 것은 문제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은 구제금융을 한 것"이라고 규정했다.

 

http://m.newspim.com/news/view/20200320002715

 

모럴해저드? 헤지펀드 위기 처하자 '구제금융'한 美연준

[서울=뉴스핌] 김사헌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최근에 위기 대응 수단을 총동원한 배경에 '레버리지헤지펀드' 위기가 있었다. 은행이 아니라 헤지펀드가 '대마불사', 즉 구제금융 대상으로 부상했다는 얘기인데, 이를 놓고 모럴해저

m.newspim.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