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2019년 상반기 제주지역 수출입 동향

by RichInside 2019. 8. 23.
반응형

상반기 수출입 개황

 6월 수출입 개황
m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51.7% 감소한 1,000만달러
 - 월중 실적으로는 2005년 6월 이후 최대 낙폭 기록
 - 수출물량은 64.2% 감소 (‘18.6월 4,314톤 → ’19.6월 1,543톤)
 * 지난해 중고여객선(3,032톤) 수출에 따른 기저효과가 감소의 주요인
m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41.3% 감소한 2,860만달러
 - 4월부터 3개월 연속 큰 폭 감소
 - 수입물량도 36.1% 감소 (‘18.6월 19,830톤 → ’19.6월 12,679톤)
 * 전년동기 화물선(4,252톤) 및 사료용옥수수(5,050톤)수입 기저효과가 주요인
m 무역수지는 1,860만달러 적자
 상반기 수출입 개황
m 수출은 전년 상반기 8,925만달러 대비 25.4% 감소한 6,660만달러
 - 3월 일시 소폭 반등 이후 감소세 확대 추세
 - 수출물량은 22.5% 증가 (‘18.1-6월 17,058톤 → ’19.1-6월 20,894톤)
 * 1월 수출물량이 중고화물선(5,462톤)을 제외하고도 3,428톤이었으나 6월들어
1,543톤으로 급감하여 3사분기 수출증가세 반전은 어려울 전망
m 수입은 전년 상반기 2억9,355만달러 대비 36.1% 감소한 1억8,768만달러
 - 4월 일시 소폭 반등 이후 감소 지속
 - 수입물량도 0.4% 감소 (‘18.1-6월 92,281톤 → ’19.1-6월 91,920톤)
m 무역수지는 전년동기 2억430만달러보다 크게 줄어든 1억2,108만달러 적자

 

상반기 수출 동향

 산업별 수출 동향
m 수출주도 업종 감소
- 주력 수출품인 전자전기(2,969만달러, △41.6%)를 비롯 기계류(286〃, △53.7%), 플라스틱고무가죽(16〃, △76.3%) 등은 감소했으나,
 - 농수축산물(2,940〃, 3.6%), 화학공업(243〃, 26.5%), 생활용품(95〃, 39.4%) 및 섬유류등기타(109〃, 95.3%)는 증가

 

 

m 농수축산물 소폭 증가
 - 상반기동안 수산물(1,570만달러, 0.5%) 및 농산물(1,329〃, 9.2%)은 견
조세를 유지했으나 축산물(41〃, △30.5%)는 감소

m 전자전기 6개월 연속 감소
 - 모노리식집적회로가 주도하는 전자전기제품은 지난 1월부터 상반기 내내
지속 감소
 * ‘19.1월 △59.3% → 2월 △54.8% → 3월 △33.1% → 4월 △19.8% → 5월 △
37.1% → 6월 △46.5%
 품목별 수출 동향
m 모노리식집적회로 전체 수출실적 점유율 하락
 - 지난해 상반기 4,731만달러 수출되며 제주도 전체수출의 53%까지 차지
했던 모노리식집적회로는 금년 상반기중 40.5% 감소한 2,817만달러에
그쳐 비중이 42%로 하락
 - 수출물량 또한 전년동기 2,700만개에서 올해 같은 기간 1,800만개로 줄
어들고 수출단가도 하락하여 하반기에도 저조 예상
m 수산물 품목별 혼조세
 - 넙치류(992만달러, △3.7%), 전복(80〃, △32.6%), 톳(14〃, △67.9%)
등은 감소한 반면 소라(187〃, 3,9%) 및 붉조기(41〃, 6.3%) 등은 증가
 - 6월들어 수산물 수출금액 감소폭 완화 및 수출물량 증가에 기여한 소라의
수출탄력성 유지가 하반기 수산물 수출회복의 큰 관건

m 농산물 대부분 호조
- 양배추(165만달러, △50.0%)와 백합(60〃, △23.2%)을 제외한 감귤농축액
(232〃, 34.9%), 생수(195〃, 10.6%), 식물성액즙(177〃, 683.3%) 및
무(134〃, 136.2%) 등이 증가세 기록
 - 다만 6월 농산물 수출실적이 전년동기보다 37% 감소한 1백만불대로 감
소하고 수출물량도 1천톤대로 하락하여 수출비수기인 3사분기 수출지속
여부에 따라 금년 수출실적이 좌우될 전망
m 1백만달러 이상 수출품목 9개
- 전년동기 1백만달러 수출품목이었던 반도체칩과 전복 대신 식물성액즙과
무가 신규 진입
 - 반도체 불황, 화물선 수출의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농수산물이 주요
수출품목으로 자리매김

 국가별 수출 동향
m 미국을 제외한 상위 수출국 대부분 감소
 - 홍콩은 모노리식집적회로(1,809만달러, △40.7%)가 지속 감소하였으나
기타어류(51〃, 1,671.5%)와 키위(32〃, 1,725.1%)는 증가
 - 일본은 넙치류(455〃, △7.9%), 전복(69〃, △38.8%), 백합(60〃, △
23.6%)은 감소하고 감귤농축액(232〃, 34.9%), 소라(187〃, 4.0%)는 증가
 - 미국은 넙치류(432〃, △1.9%), 모노리식집적회로(33〃, △52.8)는 감
소, 식물성액즙(152〃, 5,682.1%), 무(117〃, 124.7%)는 증가
 - 중국은 모노리식집적회로(314〃, △59.0%)는 감소, 화학공업제품(45〃, 161.5%)과 기초화장품(40〃, 70.9%)은 증가
 - 대만도 모노리식집적회로(143〃, △62.2%), 반도체칩(42〃, △75.2%)이
감소, 양배추(131〃)는 증가
m 독일, 베트남, 캐나다 수출 증가
 - 독일은 모노리식집적회로(342〃, 47.1%), 베트남도 모노리식집적회로
(101〃, 179.5%), 캐나다는 기타어류(15〃)가 증가
m 라이베리아는 화물선(182〃)이 수출

상반기 수입 동향

 

 품목별 수입 동향
m 기계류 및 전자전기 감소 전환
 - 1회성 수입품목인 플라스틱가공기계(1,198만달러)를 제외하고 무선통신
기부품(1,169〃, △39.3%) 등의 기계류와 반도체칩(751〃, △19.5%) 등
전자전기 수입이 감소로 전환
m 관광용 소비재 지속 감소
 - 화장품류(2,980만달러, △19.0%), 향수(761〃, △8.3%), 위스키(713〃, △9.0%), 담배류(599〃, △21.5%), 선글라스(257〃, △11.6%) 등이 감소
m 농수산용 사료 증가
 - 사료용옥수수(499〃, 3.4%), 블루화이팅스(372〃, 2,345.6%), 유박(314〃, 25.4%) 등이 증가

 국가별 수입 동향
m 기계류 전자전기 소비재 수입국 감소
 - 중국은 무선통신기부품(1,169만달러, △39.3%), 자물쇠부품(136〃, △
19.1%), 손목시계(135〃, △19.4%) 등이 감소
 - 미국은 기초화장품(255〃, △31.0%), 사료용옥수수(247〃, △26.4%) 감
소 외에도 전년동기 항공기수입에 의한 기저효과로 큰폭 감소
 - 프랑스는 기초화장품(650〃, △9.4%), 대만은 반도체칩(751〃, △19.5%),
이탈리아는 궐련형전자담배(212〃, △35.3%), 일본은 기초화장품(377〃, △23.0%)이 각각 감소
 - 스위스는 플라스틱가공기계(1,198〃), 영국은 위스키(703〃, △9.4%)와
기초화장품(220〃, 15.7%) 수입
m 농수산사료 수입국 증가
 - 네덜란드는 블루화이팅스(334〃, 2,095.5%)가, 브라질은 유박(314〃, 25.4%)이 각각 증가

 

2019년 상반기 부산지역 수출입 동향

2019년 상반기 대구경북 수출입동향

[특징주] 마니커에프앤지, 코스닥 상장 첫날 강세

에이비온, 기술성평가 통과.."연내 상장심사 청구"

안국약품, 노인 황반변성 신약 개발 소식에 상한가

제넥신·툴젠 합병 무산…주식매수청구권 행사 한도 초과

길리어드 '류마티스관절염' 신약 EU 심사 개시

[특징주] '정부, 日원전 오염수 방출 대응'에 수산물株 강세(종합)

셀트리온헬스케어 '1조 클럽' 가입 한발짝… 안정적 유럽+미국 확대

[특징주]삼륭물산, 일본산 100% 독점시장 상용화 임박…전자부문도 GB-8 적용기대

환율 급등 노렸다‥외국인 韓 채권 싹쓸이

울고 웃는 `임상데이터`‥이렇게 돼야 신약 가능성 보인다

[특징주] 중국 '희토류 무기화' 선언에 희토류 관련주 강세

[특징주] NHN한국사이버결제, 실적 기대감에 5거래일 연속 상승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