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01

6월 미래에셋대우 국내 모델포트폴리오 6월 미래에셋대우 국내 모델포트폴리오 미래에셋대우 Daily 종합 (5월 31일) 퀀트전략 6월 국내 모델포트폴리오 전략 기업분석 삼성전자[Trading Buy] – 도현우: System LSI 투자 증가 글로벌 기업분석 빈그룹 (VIC VN) – 김형래: 베트남의 신도시를 개발하라! 주체별 매매동향 KOSPI: 외국인 (-)417억원 순매도, 국내기관 (-)29억원 순매도 KOSDAQ: 외국인 (+)743억원 순매수, 국내기관 (-)18억원 순매도 주가 지표 6월 미래에셋대우 국내 모델포트폴리오 2017. 5. 31.
주요국의 기본소득 논의 동향.. 주요국의 기본소득 논의 동향 (국제경제리뷰, 제2017-19호)【주요 특징】 ◆ [개념 및 추진사례] 기본소득(Basic Income)이란 원칙적으로 자산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근로 여부와도 관계없이 개인 모두에게 지급되는 소득을 의미* * 다만 최근에는 엄격한 의미에서 기본소득은 아니더라도 상기조건 중 일부 조건을 완화한 부분적?단계적 기본소득 논의도 제기 ㅇ 일부 국가에서는 비교적 오래전부터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으며 핀란드 등에서는 올해부터 기본소득 시범 사업을 실시 ◆ [관심 배경] 현재의 사회안전망 및 복지제도만으로는 ①급격한 기술발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 우려, ②부와 소득의 불평등 심화, ③저성장 기조의 장기화 등과 같은 경제?사회적 현상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인식으로 인해 기본소득에.. 2017. 5. 31.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19호)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19호) ▣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7-19호(5.26) ◇ 가계(4): 주요국의 기본소득 논의 동향 ▷ 금리, 환율, 주요국 주가 ▷ 국제유가, 비철금속 가격, 금 가격, 농산물 가격 ※ 주간 해외경제 지표 및 전망 ※ 주요국의 경제지표 함께보기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24호) "2017 글로벌 경제 10대 이슈"의 모니터링(상반기) 지역경제보고서(2017년 6월) 해외경제 포커스(제2017-23호) 금융안정보고서(2017년 6월) [현지정보] 영국·EU간 Brexit 1차 협상 결과 및 반응 중국의 통화정책 운영체계 변경 움직임 영란은행 정책금리 동결, MPC 8인중 3인이 금리인상 주장 2017.6월 FOMC 회의 결과 6월 FOMC 결과에 대한 금융시장 반응 및 시장.. 2017. 5. 30.
유로지역의 낮은 임금상승세 지속 배경 및 시사점 유로지역의 낮은 임금상승세 지속 배경 및 시사점 □ 유로지역 경기와 고용상황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금은 낮은 상승세 지속 o 2013년 이후 실업률이 하향세를 지속하고 고용률이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했으나 임금상승률은 1%대 초반의 낮은 수준 유지 □ 경기 개선속도에 비해 낮은 임금상승세로 예상보다 낮은* 인플레이션이 지속 되면서 경기-물가 간 안정 관계에 대한 의문이 증폭(missing inflation puzzle) * 유로지역 인플레이션 전망치가 실적치를 지속적으로 상회한 것은 임금상승세를 과대예측 한 데 주로 기인(ECB(2017), “Low inflation in the euro area: Causes and consequences”) 1. 풍부한 유휴노동인력(slack) □.. 2017. 5. 29.
[현지정보] 인민은행, 채권통(중국 본토·홍콩 채권시장간 교차거래) 시행계획 발표 [현지정보] 인민은행, 채권통(중국 본토·홍콩 채권시장간 교차거래) 시행계획 발표 □ 인민은행은 채권통(债券通, 중국 본토-홍콩 채권시장간 교차거래) 시행계획을 홍콩금융관리국(HKMA)과 공동으로 발표(5.16일) ㅇ 우선 시행 초기에는 홍콩에서 중국 본토로의 채권 투자*(北向通)만 허용하고 추후에 제도가 안정된 이후 중국 본토 투자자들의 홍콩 채권시장 투자(南向通)를 허용할 계획 * 홍콩에서 중국 본토로의 채권 투자시 투자한도를 제한하지 않을 것이라 발표 □ 인민은행은 채권통의 시행으로 ① 홍콩이 국제금융센터로서의 지위를 견고히 유지(巩固与提升香港国际金融中心地位)하게 될 것이며, ② 중국 금융 시장의 대외개방(稳步推动我国金融市场对外开放)에도 도움이 되며, ③ 해외 투자자에게 다양한 투자 수단 및 경로를.. 2017. 5. 28.
홍콩의 최근 주택가격 동향.. 홍콩의 최근 주택가격 동향 1. 최근 홍콩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 홍콩 주택가격은 2015.9월∼2016.3월 중 단기조정을 보이고 상승으로 전환한 다음 당국의 가격 안정을 위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높은 상승세를 지속 * 홍콩정부는 2016.11월 2채 이상의 주택구입자(최초 구입자 제외)에 대해 15%의 인지세 (stamp duty)를 부과하였으며(2016.11.5.일 시행) 2017.4월에는 최초 구입자에 대해서도 2채 이상 구입시 15%의 인지세 부과(2017.4.12.일 시행). 규제시행 이전에 매수하려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2017.3월중 주택거래 건수 및 금액 은 5,856건, 504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1.5배, 1.9배 증가 ㅇ 지난해 4월부터 연말까지 13.3% 상승한 데 .. 2017.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