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최근 미국 경제 및 주요 품목별 시장의 동향과 전망

RichInside 2019. 7. 14. 20:42
반응형

1. 미국 경제 동향
□ (실질GDP) 소비지출을 비롯한 대다수 분야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18년 3/4분기 기준
전년 대비 3.4% 성장세를 기록하였으나,
18년 4/4분기 2.2%를 기록하며 다소 주춤함
ㅇ (물 가)
18년 4/4분기 근원 개인소비지출(Core PCE)은 1.9%를 기록
ㅇ (기업투자) 미·중간 3차례의 통상 분쟁 마찰 여파로 기업 투자가 감소함에 따라
18년
1/4분기 11.5%에서
18년 4/4분기 5.4%로 대폭 감소함
ㅇ (소비지출) 임금상승 및 실업률 하락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으로
18년 4/4분기
소비지출은 전년대비 증가세를 보임
ㅇ (주택투자)
18년은 지난 5년간의 주택투자 대비 둔화세를 보였으며, 18년 4/4분기
주택시장과 건설경기 악화로 전년대비
4.7%로 감소함
ㅇ (수 출)
18년 3/4분기 수출액은 G2간 무역 분쟁에 따른 미국의 대중 수출이 감소하며 전년
대비 대폭 하락한
4.9%를 기록하였으나 18년 4/4분기엔 수출이 반등하며 전년대비 1.8% 증가
ㅇ (수 입)
18년 3/4분기 수입액은 소비재, 자본재 수요가 확대되며 전년대비 9.3% 증가
하였고,
18년 4/4분기에는 전년대비 2.0% 증가함

□ (고용시장) 18년 실업률은 전년대비 감소한 연평균 3.9%를 기록하였고 고용률은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며
18년 4/4분기 60.6%를 기록함
ㅇ (실업률) 실업률은 일자리 증가 및 임금상승 영향으로
18년 1/4분기 4.1%에서 18년
4/4분기 4.0%로 하락세를 이어감
ㅇ (고용률)
18년 2월 이후 고용률이 매월 60% 이상을 기록하며 견고한 고용시장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18년 4/4분기 60.6%를 기록하며 성장세가 지속됨
ㅇ (경제활동 참가비율)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성인 비율이 63%대로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본질적인 고용시장 개선의 필요성이 시사됨

□ (소비) 소매판매와 생산자물가는 18년 2/4분기 이래 대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소비심리와 기업재고는 대부분 전기대비 완만한 성장세를 보임
ㅇ (소매판매) 미국 경기 둔화 우려로
18년 말 소매판매가 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후퇴
하면서
18년 4/4분기 0.1%로 하락함
ㅇ (소비심리) 지난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 소비자심리지수는
18년 매 분기
98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18년 1/4분기 이래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함
ㅇ (생산자물가)
18년 2/4분기 전기대비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18년 4/4분기
0.1%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임
ㅇ (기업재고)
18년 1/4분기 증가세를 보인 기업재고는 18년 2/4분기 다소 주춤하였으나
이후 증가세를 보이며 재고 축적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18년 전반적인
기업재고는 전년대비 증가세를 기록

□ (소비) 소매판매와 생산자물가는 18년 2/4분기 이래 대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소비심리와 기업재고는 대부분 전기대비 완만한 성장세를 보임
ㅇ (소매판매) 미국 경기 둔화 우려로
18년 말 소매판매가 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후퇴
하면서
18년 4/4분기 0.1%로 하락함
ㅇ (소비심리) 지난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 소비자심리지수는
18년 매 분기
98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18년 1/4분기 이래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함
ㅇ (생산자물가)
18년 2/4분기 전기대비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18년 4/4분기
0.1%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임
ㅇ (기업재고)
18년 1/4분기 증가세를 보인 기업재고는 18년 2/4분기 다소 주춤하였으나
이후 증가세를 보이며 재고 축적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18년 전반적인
기업재고는 전년대비 증가세를 기록

□ (제조업) 글로벌 제조업 지표 부진, 미·중 무역전쟁 여파 등으로 18년 2/4분기 이래 미국
제조업의 경기 확장세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임
ㅇ (산업생산)
18년 산업생산지수는 전년대비 상승하며 연평균 108.6을 기록한 가운데 19년
제조업 시장은 전년보다 느린 확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19년 최근 미·중간 통상마찰 완화기조로 전반적인 제조업 경기는 소폭 증가세가
기대되나 무역 분쟁의 불확실성 등으로 둔화될 전망
ㅇ (ISM제조업)
18년 ISM제조업 지수는 전년대비 5.0 포인트 하락한 연평균 54.3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고
18년 4/4분기 54.3을 기록함

최근 미국 경제 및 주요품목별 시장의 동향과 전망 (뉴욕지부_20190710).pdf
2.45MB

 

 

반응형